목록주식/주식 공부 (45)
MONEY NOT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1EwxA/btrgdFlK7Pu/nBcKAKyvix2cyYYfL81NdK/img.png)
경제 뉴스에서 등장하는 다양한 경제학 이론이 많은데 그중에서 다우이론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다우이론이란? 다우이론은 다양한 주가 예측 이론 중에서도 오래되었고 널리 알려진 이론이다. 항상 뉴스 기사에 언급되는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를 만든 찰스 다우로부터 시작된 이론이기도 하다. 찰스 다우가 사망한 이우에 사무엘 넬슨과 윌리엄 헤밀턴, 로버트 레이 등이 이론들을 체계화하여 정립하였으며 이를 다우이론이라고 칭한 사람은 사무엘 넬슨이다. 다우이론의 가장 기본이 되는 사항은 주가는 이미 시장에 알려진 공개 정보가 반영되어 있다고 하는 효율적 시장가설을 근간으로 하여 주식시장의 등락의 사이클 내에서 일정하게 변화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하고 있다. 여기서 효율적 시장가설이라 하는 것은 자본시장의 가격이 이용 가능..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VuMVv/btrfG2vtnbD/kYlUKwfAPS6KSh1A3Vioa0/img.png)
메자닌 펀드란? 경제 뉴스를 보다 보면 메자닌이라는 단어를 종종 보게 된다. 익숙하지 않은 단어이다보니 무슨 뜻인지 몰라서 찾아보게 되는 경우가 있다. 메자닌이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건물의 층과 층 사이에 설치된 공간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즉 메자닌 펀드 뜻은 주식과 채권 사이 중간에 위치한 모두 형태의 금융상품에 투자하는 펀드를 말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교환사채 등이 메자닌 펀드의 주요 투자 대상으로 해당이 된다. 즉, 위에 언급한 상품들의 경우 주식의 성격이 포함된 채권으로 생각하면 된다. 일반적인 채권과 같이 이자를 받지만 나중에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를 행사해서 주가가 상승할 시에는 추가적인 수익을 확보할 수도 있다. 물론 주가가 상승하지 않을 수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9wzn8/btrfp1Sk3xC/V7PMLEdcBA9F8z00KT41V0/img.png)
주식을 하는 사람들 중에 이 격언은 안 들어 본 사람은 없을 것이라 생각한다.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흔히 말하는 한 곳에 몰빵을 하여 집중투자하는 것보다 분산투자를 통해 리스크를 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하루하루가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는 언제 어떠한 위험이 발생할지 알 수가 없기 때문에 분산투자를 해야 한다는 조언이 어쩌면 당연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분산투자를 하는 것도 몇가지 포인트가 존재하는데 그것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분산투자 시 종목 간 독립성 나누어 담는 바구니들은 서로 반대거나 상호 연관 관계가 적은 것이 좋다. 예를 들어서 주식 분산투자를 하는데 백신 관련된 여러 주식 종목들을 매수한다고 하면 이 것은 분산투자로 보기가 어렵다. 같은 산업, 같은 섹터 내에서 동일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t31N1/btreJR3KGJ1/KlFBYQsK8qYPB4k9MbypH0/img.png)
뉴스나 신문에서 등장하는 경제용어 중 버핏 지수라는 것이 있다. 주식시장 관련한 용어인데 어떤 의미인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버핏 지수란? 주식시장에서 흔한 논란이 있다. 바로 시장 또는 종목에 대한 과열 논란이다. 이러한 논란이 발생할 수밖에 없고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은 주식 시장이라는 것이 기업의 실제 손익과 펀더멘탈과 같은 합리적이고 눈에 보이는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비합리적 요소로 볼 수 있는 인간의 심리 등과 같은 요인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시장의 과열이 되었던, 특정 종목의 과열이 되었던 과한 거품은 결국 꺼지기 마련이다. 그러나 주식 시장에 참여자들은 그 시점에 그 것이 거품인지 아닌지 알 수가 없다. 주식 시장의 참여자들 역시 그 동안의 역사를 공부하고 지켜보면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0tgo/btrd21x5rQw/iNjWA19Yc4DjHsXIuE6Mk1/img.png)
화폐의 기능은 무엇일까? 화폐는 우리의 모든 경제 활동의 기반이 되었던 기본적인 수단이다. 이러한 화폐의 기능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화폐의 기능 화폐가 없는 우리의 일상을 상상해본 적이 있는가? 화폐가 없던 그 옛날에는 물건 대 물건 즉 물물교환을 통해 원하는 것을 가질 수가 있었다. 물물교환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어려운 일이다. 곡물을 소고기와 교환한다는 가정을 해보겠다. 내가 곡물을 가지고 있다면 우선 소고기를 가지고 있는 사람을 찾아야 한다. 찾는 과정을 어렵사리 지나서 소고기를 가지고 있는 사람을 확보하였다. 그러나 여기서부터 새로운 시작이다. 그런데 그 소고기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이미 곡물을 많이 가지고 있어서 곡물에 대한 필요성을 가지고 있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첫 번..
주식 관련 뉴스나 기사를 보다 보면 가끔씩 네 마녀의 날이라는 단어가 등장을 한다. 그리고 함께 나오는 메시지는 주가 변동성이 클 수 있으니 투자에 유의하라는 내용이다. 그렇다면 네 마녀의 날이 무슨 뜻이길래 주가에 유의하라는 이야기가 함께 나오는 것일까? 네 마녀의 날 네 마녀의 날이란? 네 마녀의 날에서 지칭하는 네 마녀는 주가지수선물, 주가지수옵션, 개별주식옵션, 개별주식선물을 의미한다. 이들의 만기가 동시에 겹치는 날을 네 마녀의 날로 이야기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매년 3,6,9,12월 둘째 주 목요일이 여기에 해당한다. 4개의 거래 시장이 만기가 되면서 발생하는 일이 무엇일까? 바로 4개 거래 시장이 만기되면서 만기 당일, 큰 규모의 자금을 운용하는 외국인 또는 기관투자자들의 움직임이 많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