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EY NOTE

다우이론이란 무엇인가? 본문

주식/주식 공부

다우이론이란 무엇인가?

MONEY NOTE 2021. 9. 28. 01:09
반응형

경제 뉴스에서 등장하는 다양한 경제학 이론이 많은데 그중에서 다우이론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다우이론이란? 

다우이론-기사

다우이론은 다양한 주가 예측 이론 중에서도 오래되었고 널리 알려진 이론이다.

 

항상 뉴스 기사에 언급되는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를 만든 찰스 다우로부터 시작된 이론이기도 하다.

찰스 다우가 사망한 이우에 사무엘 넬슨과 윌리엄 헤밀턴, 로버트 레이 등이 이론들을 체계화하여 정립하였으며 이를 다우이론이라고 칭한 사람은 사무엘 넬슨이다.

 

다우이론의 가장 기본이 되는 사항은 주가는 이미 시장에 알려진 공개 정보가 반영되어 있다고 하는 효율적 시장가설을 근간으로 하여 주식시장의 등락의 사이클 내에서 일정하게 변화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하고 있다.

 

여기서 효율적 시장가설이라 하는 것은 자본시장의 가격이 이용 가능한 정보를 충분히 즉각적으로 반영하고 있다는 가설이다.

 

주식 시장에서 흔히 말하는 '호재는 이미 반영이 되어 있다'는 의미와 같은데 어떤 투자자라도 이용 가능한 정보를 기본으로 한 거래에 의해 초과 수익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이다.

주식차트

위와 같은 이유는 시장이 효율적이라는데 전제가 있다. 시장이 효율적이기에 내가 가진, 알고 있는 정보는 이미 주가에 반영되었고 따라서 투자자의 예측에 영향을 준 정보로 인한 가격 변화는 또다시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내용이다.

 

다우이론은 기간에 따라서 일 단위 단기 추세, 월 단위 중기 추세, 연 단위 장기추세로 구분할 수가 있다.

새로운 중기 추세의 최저점이 이전 장기추세의 최저점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승국면으로 들어갔다고 분석을 한다.

 

또한 중기와 장기로 이어지는 추세를 투자자들의 움직임에 따라서 강세와 약세 3가지의 6가지 국면으로 구분을 하게 된다.

 

강세 1국면은 침체된 시장에서 서서히 상승 기류가 나타나서 강세장으로 접어드는 국면을 말한다. 2단계 국면은 상승장이다.

 

1,2 국면에 매수를 하는 주체는 과연 누구일까? 바로 전문가들이다. 이때 일반인들은 관망 또는 매도의 포지션을 취한다. 3국면이 되면 일반인 매수가 늘어나면서 전문가는 매도를 하게 된다. 여기가 바로 과열 양상을 보이는 구간이다.

 

이후 4국면부터 6국면까지는 약세장이다.

결국 전문가는 장이 하락할 때, 즉 공포에 사고 일반들이 매수에 몰리는 과열에 매도하는 포지션을 취하지만 일반인들은 반대 포지션을 취함으로 지속적인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다우이론은 과거부터 사용된 기술적 분석의 정형화된 이론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제한적인 부분 역시 존재한다.

 

미래 예측을 하는 모델이 아니기 때문에 현재의 국면을 파악하는 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또한 변동성이 높거나 불안정한 개별 섹터, 개별 종목 등에 대해서는 다우이론을 적용하기가 적합하지가 않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