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EY NOTE

네 마녀의 날 무슨 뜻일까 본문

주식/주식 공부

네 마녀의 날 무슨 뜻일까

MONEY NOTE 2021. 9. 4. 15:26
반응형

주식 관련 뉴스나 기사를 보다 보면 가끔씩 네 마녀의 날이라는 단어가 등장을 한다.

네 마녀의 날-기사
네 마녀의 날 기사

그리고 함께 나오는 메시지는 주가 변동성이 클 수 있으니 투자에 유의하라는 내용이다. 

 

그렇다면 네 마녀의 날이 무슨 뜻이길래 주가에 유의하라는 이야기가 함께 나오는 것일까?

 

네 마녀의 날

네 마녀의 날이란?

 

네 마녀의 날에서 지칭하는 네 마녀는 주가지수선물, 주가지수옵션, 개별주식옵션, 개별주식선물을 의미한다.

 

이들의 만기가 동시에 겹치는 날을 네 마녀의 날로 이야기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매년 3,6,9,12월 둘째 주 목요일이 여기에 해당한다.

 

4개의 거래 시장이 만기가 되면서 발생하는 일이 무엇일까?

 

바로 4개 거래 시장이 만기되면서 만기 당일, 큰 규모의 자금을 운용하는 외국인 또는 기관투자자들의 움직임이 많아진다.

 

외국인과 기관의 프로그램 매매가 대량으로 실행되면서 주가 변동성 역시 커지기 때문이다.

 

이처럼 투자자들에게 혼란을 야기하는 날이라고 하여 마녀가 심술을 부리며 이곳저곳 돌아다닌다 라는 뜻에서 네 마녀의 날이라는 명칭을 붙여진 것이다.

 

영어로는 '쿼드러블 위칭데이(quadruple witching day)'라고 부른다.

 

주가지수선물과 주가지수옵션의 기준이 되는 지수는 여러 개가 있다.

 

그중에서 주로 코스피 200 지수에 연동된 거래를 의미하며, 개별주식옵션과 개별주식선물에서 의미하는 개별주식은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어 있고 유통주식 수가 2천만 주 이상이고 소액주주 수가 2,000명 이상, 1년간 총 거래대금이 5,000억 원 이상인 보통주식 중에서 시가총액과 재무상태 등을 감안하여 선정된 기업들의 발행 주식을 말한다.

 

네 마녀의 날 역사

 

1997년에는 네 마녀의 날이 아닌 두 마녀의 날 밖에 없었다.

 

1996년에 주가지수 선물 시장이 열렸고 1997년에 주가지수 옵션시장이 열렸기 때문이다.

 

이후 2002년 주식종목별로 옵션을 투자할 수 있는 시장이 열리면서 2008년 4월까지 세 마녀의 날이었고 이후 개별주식선물이 도입되면서 네 마녀의 날이 된 것이다.

 

2008년 6월 12일 첫번째 네 마녀의 날이 시작되었다.

 

2020년 3월 12일에는 코로나 19로 인한 전반적인 사회적 충격과 외국인의 매도가 거세지면서 코스피가 전일 대비 80포인트 넘게 하락하면서 전일 종가 대비 선물 가격이 5% 이상 급등 또는 급락한 상태가 1분간 지속되는 경우에 발동하는 사이드카가 9년 만에 발동하기도 했다.

 

주식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 차이는?

주식을 하다 보면 뉴스를 통해서 한 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용어들이 있는데요. 그중에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라는 것이 있습니다. 주식 시장이 전체적으로 크게 변동할 때 투자자들을 보호해

jaemichango.tistory.com

 

또한 3월 만기 때에는 선물가격이 현물보다 낮아지는 백워데이션 현상까지 발생하면서 주식시장 하가의 우려를 더하기도 했다. 이 처럼 네 마녀의 날에는 주가 변동성이 커지므로 투자 시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싼 값에 우량주를 매입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투자 전략을 어떻게 가져가느냐에 따라 관점을 달리 가져갈 수 있는 요인이라 할수 있다.

 

 

 

서킷브레이커(서킷브레이크) 뜻

1. 뉴스에서 찾는 서킷브레이커 日바이오주 폭락에…마더스지수 선물 장중 서킷브레이커 발동 코스닥 폭락에 서킷 브레이커 발동... '검은 금요일' 中증시 서킷 브레이커 발동…CSI300지수 5%↓

illusionist-note.tistory.com

 

 

주식 시장의 역사

주식시장의 역사 주식 시장의 역사는 국가별로 최초의 증권거래소가 설립되면서부터 시작이다. 세계 최초의 주식 거래는 1602년 설립된 네덜란드의 동인도회사의 주식이 거래되면서부터 시작되

illusionist-note.tistory.com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