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EY NOTE

권리락 이후 주가 매도 타이밍 최근 사례는? 본문

주식/주식 공부

권리락 이후 주가 매도 타이밍 최근 사례는?

MONEY NOTE 2021. 3. 17. 02:21
반응형

권리락

주식에 있어서 구주에게 부여되는 신주인수권 또는 신주의 무상교부권이 없어진 상태를 의미한다. 기업이 자본금을 늘리는 증자를 단행하는 경우 또는 배당을 실시할 때 일정 기일을 정하여 그 기준일까지 주식을 소유한 주주들에게 신주를 주거나 배당받을 권리를 주게 되는데 기준일 이후에 주식을 매수한 사람들에게는 신주나 배당을 받을 권리가 없어진다. 통상적으로 권리락이라함은 신주의 배정 권리가 없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배당받을 권리가 없어지는 것은 배당락이라고 표현한다. '21년 들어서는 무상증자를 단행한 회사들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권리락을 예년보다는 자주 접하게 되었다. 그렇다면 권리락과 주가는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매도 타이밍은 언제가 될지, 최근 사례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한다. 

 

728x90

최근 사례

최근 바이오 업종의 회사들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최근 셀리버리, 유유제약, 동구바이오제약, 알테오젠, 에이치엘비 등의 기업이 무상증자를 시행 또는 진행 계획 중에 있다. 

 

 

셀리버리가 1월 18일 보통주와 우선전환주에 대해 1주당 신주 1주를 배정하는 100% 무상증자를 결정하면서 주가는 급등하였다. 우선 공시일에 약 12%정도 급등하였고 1월 22일과 25일에는 두차례 상한가를 기록하는 등 급등세를 보였다. 이후 권리락 당일에 큰 변동성을 보였으다. 또한신주상장일인 2월 24일 이틀전부터 하락하면서 5영업일 연속으로 큰 하락세를 보였다. 현재는 무증권리락 가격보다는 조금 낮은 시장가로 형성은 되어 있다. 

셀리버리 차트
셀리버리 차트

최근 이슈의 중심에 있는 에이치엘비의 경우 에이치엘비, 에이치엘비생명과학이 1대1 무상증자를 단행했다. 언론으로부터 시작된 허위공시 논란으로 지속적인 주가 하락이 이어지자 회사차원에서 꺼내든 특단의 조치였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신주상장이전일이기 때문에 앞선 셀리버리와 같은 조건은 아니나 주가의 흐름을 보도록 하겠다.

 

에이치엘비 차트
에이치엘비 차트

에이치엘비와 에이치엘비생명과학은 2월 26일 장전에 무상증자 결정 공시가 났고 3월 15일 권리락이 실행되었다.

에이치엘비는 38,950원에, 에이치엘비생명과학은 11,400원에 권리락이 실행되었다. 발표일이후부터 3월 16일까지는 완만한 상승곡선을 이루면서 악재 이전 가격을 회복하고 있는 모양새이다. 그러나 신주상장일인 4월 1일에는 큰 변동성이 예상된다. 어떠한 진척사항이 공유될지는 모르겠으나 현재 진행사항은 상승하는 방향으로 보인다.

 

 

알테오젠은 3월 10일 무상증자를 발표이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다. 다만 권리락(3월 24일)과 신주상장일(4월 12일)이 아직 도래하지는 않아 위의 언급한 두 종목들과는 진행 정도가 또 다른 상황이다.

다만 무상증자 발표 후 확률이 높다고 알려진 바와 같이 주가의 상승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는 것은 공통적인 측면이 있다.

 

알테오젠 차트) data-origin-width=
알테오젠 차트

따라서 매도 전략 즉 수익을 어느 수준으로 책정해서 가져 가느냐에 따라 타이밍 포인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오늘 살펴본 사례 뿐만 아니라 기존의 많은 사례들을 돌이켜 봤을 때에도 무상증자 발표일에는 많은 기업들이 큰 상승세를 보였다. 그러나 무상증자를 받지 않을 것이라면 권리락 이전에 매도타이밍을 잡고 수익실현을 하는 것도 좋다고 보이고 반면에 중장기적 플랜을 가지고 있는 투자자라면 무상증자를 받고 기다리는 것도 하나의 옵션이라 할 있겠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