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EY NOTE
퇴직금 퇴직연금으로 계산하는 방법 본문
'22년 4월부터 회사가 퇴직하는 직원에게 퇴직금을 지금할 때에는 의무적으로 퇴직연금 계좌인 IRP 계좌로 입금을 하게 되었다. 퇴직 시 회사로부터 받는 퇴직연금은 두가지의 형태가 있는데 어떤 종류인지에 따라 근로자가 받는 연금 금액과 운용 방식이 상이할 수 있다.
퇴직금 퇴직연금으로 계산하는 방법 어떻게 하는 것일까?
퇴직연금의 종류
퇴직연금은 과거에도 포스팅한바와 같이 확정급여형과 확정기여형으로 나뉜다.
퇴직연금제도의 종류와 특징
퇴직연금에 대해서는 많이 접하면서 대략적으로는 알고 있지만 정작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조차 잘 모르고 넘어가는 경우들이 있다. DB형, DC형 형태에 대해서도 정확히 개념과 특징을 모르는 경
illusionist-note.tistory.com
1. 확정급여형(DB)
Defined Benefit의 약자로 DB형으로 통칭을 하는데 근로자가 받을 퇴직금의 금액이 고정으로 정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과거 운영하던 기존의 퇴직금제도와 마찬가지로 퇴직금을 측정하여 지급을 하되 연금 형태로 지급을 하는 것을 말한다.
퇴직금 금액은 근속연수 * 최근 3개월간 평균임금이다.
최근 3개월 평균임금과 근속 연수를 곱해주는 의미는 근로자가 과거에 받았던 월급이나 과거에 받았던 월급이나 모두 최근 월급으로 인정하여 인금인상률을 반영했다고 보면 되겠다.
이는 안정성 측면에서 좋다고 할 수 있다. 금융시장, 투자상황 등이 불안할 때에도 퇴직금은 안전하게 보호가 되기 때문이다.
2. 확정기여형(DC)
Defined Contribution의 약자로 DC형으로 통칭한다.
기업에서 재직중인 근로자의 이름으로 된 계좌에 매월 일정 금액의 퇴직금액을 지급해주는 연금이다.
그리고 이 돈에 대해 근로자가 투자를 해서 수익을 낼 수도, 손해를 볼 수도 있다. 그러므로 근로자는 자신의 퇴직금의 규모에 대해 정확히 알 수가 없다.
이는 더 많은 퇴직금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그만큼 리스크가 크다는 점도 존재를 한다. 투자 시장이 호황일 때에는 좋을 수 있으나 그 반대의 경우에는 잃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기업 입장에서는 확정기여형을 선호하는 경향도 있으나 확정급여형이 대체적으로 많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금융정보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좌이체 잘못했을 때 돌려받는 방법 (0) | 2022.12.21 |
---|---|
금투세 유예 무슨 이슈일까? (0) | 2022.12.15 |
우리카드 홈페이지에서 해지 방법 (0) | 2022.11.13 |
KB국민카드 고객센터 전화번호 몇 번? (0) | 2022.10.03 |
금리가 높아질 때 대처 방법 (0) | 2022.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