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EY NOTE

스튜어드십코드란 무엇인가? 본문

주식/주식 공부

스튜어드십코드란 무엇인가?

MONEY NOTE 2021. 6. 13. 15:11
반응형

스튜어드십코드

경제 뉴스를 보다 보면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단어 중 스튜어드십코드라는 것이 있다. 

맥락만으로 단어 뜻이 알기 어려운 부분도 있어서 스튜어드십코드라는 용어의 정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스튜어드코드십 정의

영어로는 stewardship code라고 표기한다. 스튜어드라는 단어는 집사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집사는 서양에서 큰 집, 저택 등에서 집안일을 전반적으로 맡아서 보는 사람인데 기관들도 집사처럼 고객의 재산을 선량하게 관리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는 것이 배경이 되어 생겨난 말이다.

 

용어의 뜻을 보자면 기관투자자가 수탁자로서의 책임을 다하도록 행동원칙을 규정한 자율 규범이다.

기관투자자라고 하면 국민연금이나 자산운용사 등을 말하는데 이러한 기관투자자들이 투자 기업의 의사결정에 적극 참여하여 투명한 기업 경영, 기업의 이윤추구, 성장 등을 이끌어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할 수 있다.

 

스튜어드십코드가 도입된 계기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이다. 최초 도입한 곳은 영국인데 금융위기의 원인 중 하나로 제시된 기업 경영진들의 전횡을 막기 위해 견제 장치를 제도화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도입된 것은 2018년 국민연금이라고 할 수 있다. (시행 도입은 2016년)

도입을 통해 기관들이 기업을 상대로 하여 주주에게 부당한 것을 시정하라고 적극 요구할 수 있게 되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