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EY NOTE

메자닌 펀드 뜻 알아보기 본문

주식/주식 공부

메자닌 펀드 뜻 알아보기

MONEY NOTE 2021. 9. 23. 00:01
반응형

메자닌 펀드란?

 

경제 뉴스를 보다 보면 메자닌이라는 단어를 종종 보게 된다.

 

메자닌펀드 기사

익숙하지 않은 단어이다보니 무슨 뜻인지 몰라서 찾아보게 되는 경우가 있다.

 

메자닌이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건물의 층과 층 사이에 설치된 공간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즉 메자닌 펀드 뜻은 주식과 채권 사이 중간에 위치한 모두 형태의 금융상품에 투자하는 펀드를 말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교환사채 등이 메자닌 펀드의 주요 투자 대상으로 해당이 된다.

 

즉, 위에 언급한 상품들의 경우 주식의 성격이 포함된 채권으로 생각하면 된다.

 

일반적인 채권과 같이 이자를 받지만 나중에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를 행사해서 주가가 상승할 시에는 추가적인 수익을 확보할 수도 있다.

 

물론 주가가 상승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를 행사하지 않고 채권을 만기 시까지 보유해서 원금을 돌려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부분들로 인해서 메자닌 펀드가 채권의 안정성, 주식의 수익성을 함께 겸비한 상품이라고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메자닌 펀드 주요 투자 대상인 사채들의 특징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메자닌 펀드 주요 투자 대상은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교환사채가 있다.

 

먼저 전환사채는 채권을 발행한 회사가 신규로 발행하는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는 채권이다.

 

채권 발행 시에 주식으로 전환되는 가격을 미리 설정해놓기에 주가가 설정한 가격보다 높을 시에는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해서 주가 상승에 따른 시세 차익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주식으로 전환활 수 있는 권리를 주는 대신 이자가 낮은 편이라서 만기 보유하면 수익은 낮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신규로 발행하는 주식을 매입할 수 있는 권리가 주어지는 채권이다.

전환 사채와의 차이점은 전환사채는 권리행사 시 채권이 주식으로 전환되면서 채권이 사라지고 주식이 남지만 신주인수권부사채는 권리를 행사해도 채권은 그대로 남게 된다.

 

하지만 주식을 매입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신규 발행 주식을 매입하기 위해서는 돈을 추가로 내야 한다.

 

교환사채는 채권을 발행한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 등 다른 유가증권으로 교환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는 채권이다.

 

이때 교환해주는 유가증권은 발행회사 주식일 필요도 없고 다른 회사의 주식이나 채권도 가능하다.

 

 

 

 

 

 

 

 

 

 

반응형

'주식 >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X란 VIX지수 뜻 무엇일까?  (0) 2021.11.08
다우이론이란 무엇인가?  (0) 2021.09.28
분산투자와 집중투자에 관한 시각  (0) 2021.09.20
버핏 지수란 무엇일까?  (0) 2021.09.11
화폐의 기능은 무엇일까?  (0) 2021.09.05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