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EY NOTE

CJ제일제당 1분기 영업이익 큰 폭 증가로 주가도 희망적? 본문

주식/주식종목(일반)

CJ제일제당 1분기 영업이익 큰 폭 증가로 주가도 희망적?

MONEY NOTE 2021. 5. 10. 19:06
반응형

영업이익 39.6% 성장

5월 10일 CJ제일제당은 1분기 실적 발표를 했다.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우선 지난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6% 성장한 6조 1781억 원, 영업이익은 39.6% 늘어난 3851억 원이다. CJ대한통운을 제외한 실적으로만 봐도 매출이 5.4% 늘어난 3조 6711억 원, 영업이익은 55.5% 성장한 3423억 원을 기록했다.

 

 

이러한 좋은 실적을 낸 것에 대해 선제적 구조혁신을 통한 수익성 개선이 영업이익의 상승폭을 높였다는 분석이다. 영위하고 있는 사업 중에서는 특히 식품사업과 바이오 사업이 성장세를 이끌었다.

 

CJ제일제당 실적

 

식품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2% 늘어난 2조3064억원을 기록했다. 국내 시장의 제품을 선도하고 있는 비비고 와 햇반 등 주력제품의 쌍두마차 격인 상품이 견인하며 두 자릿수 안팎의 성장률을 기록했고 온라인 매출이 20% 넘게 신장하며 7%가량 성장했다.

 

해외 매출은 1조260억원으로 지난해 수준을 유지한 상황이다. 미국 대형 유통채널에서 비비고 만두의 점유율이 확대가 되었고 중국에서는 온라인 중심의 판로에서 판매가 늘었다. 단순히 매출만 증가한 것이 아니다. 앞서 밝힌 바와 마찬가지로 지속적으로 강도 높게 진행해온 수익성 개선 노력 및 비용 효율화가 결실을 봐서 식품 전체 영업이익은 51.7% 늘어난 1764억 원을 달성했다.

 

 

 

바이오사업부문에서는 고수익 상품의 매출이 증가하여 전체 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평가하고 있다. 매출은 전년 대비 14,7% 증가한 7773억원을, 영업이익은 50.7% 신장한 770억 원을 기록했다. 회사 측이 밝힌 바에 따르면 ① 아시아와 북미, 남미 등 글로벌 생산기반의 시장 지배력 강화한 부분, ② 차별화된 기술마케팅으로 사료, 축산 시장의 저단백 트렌드 주도, ③ 트립토판, 발린, 알지닌 등 고수익 제품 비중 확대 등 전략이 주효했다고 한다.

 

바이오사업의 가장 큰 장점이 높은 영업이익을 낸다는 것인데 그에 걸맞게 영업이익률 10%로 유지해 나가면서 확고하게 포지션을 잡아가는 모양새이고 추후에도 확실한 부가가치 창출에 더욱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사실 코로나19 사태로 기저효과가 있는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의 증가세는 눈에 띄게 줄어들 수 있다. 그러나 글로벌 시장에서 점유율 확대 및 바이오 선순환 사이클 도입 등의 요소들을 고려한다면 충분하게 성장을 이뤄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추세라면 올해에 작년 1조였던 영업이익을 넘어 사상 최고의 이익 실적도 기대해볼만 하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