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주식 (122)
MONEY NOTE

우선 7월말까지 완료되기를 희망해왔던 리보세라닙 글로벌 권리 인수는 회사의 공지로 지연이 확인되었다. 전 일 포스팅하며 녹여내었던 기대감이 이제는 머쓱해져버린 상황이 되었다. https://illusionist-note.tistory.com/67 에이치엘비와 어드벤첸의 폴첸은 과연 언제쯤? 1. 7월 말도 끝나가는데... 2월 27일에 발표한 리보세라닙의 중국을 포함한 글로벌 권리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 해당 뉴스가 전해진 지도 이미 5개월이 지났다. 이 계약의 핵심은 � illusionist-note.tistory.com 공지 내용 중 핵심은 아래의 문구일 것이다. "유효기일은 9월 30일까지 여유를 두었습니다. 기간 연장 외에 권리 이전에 대한 다른 모든 조건은 기존과 동일하게 효력이 유..

1. 7월 말도 끝나가는데... 2월 27일에 발표한 리보세라닙의 중국을 포함한 글로벌 권리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 해당 뉴스가 전해진 지도 이미 5개월이 지났다. 이 계약의 핵심은 리보세라닙의 원 개발사인 어드벤첸 연구소로부터 리보세라닙의 중국을 포함한 글로벌 권리를 인수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현재 시간은 많이 딜레이가 되었고 7월이 다 지나가는 이 와중에도 별다른 소식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유상증자를 통해 확보한 약 3,400억원의 자금 사용 목적을 돌이켜보면 아래와 같다. 이 가운데 어드벤첸과의 계약 건인 영업양수자금 614억원에 대한 항목이 있다. 미국의 어드밴첸연구소가 항서제약으로부터 중국 내 리보세라닙 매출에 대해 로열티를 받고 있었는데 해당 권리 인수로 에이치엘비가 리보세라닙..

7월 17일부로 식품의약처에서 리보세라닙을 국내 사용 승인하였다. 여러 항암체가 차료목적 사용승인을 받았는데 그 중 위암 대상으로는 리보세라닙이 승인을 받은 것이다. 그런데 이 좋은 소식에 대해 회사에서는 아직 공시조차 없는지 궁금하다. https://nedrug.mfds.go.kr/pbp/CCBBQ01/getList?totalPages=284&page=1&limit=10&sort=&sortOrder=&searchYn=true&clinicFlagName=&approvalDtStart=2020-07-17&approvalDtEnd=2020-07-17&applyEntpName=&targetDisease=&prductName=&genName=&btnSearch= 의약품안전나라 의약품등검색, 의약품 사이버민원, ..

주식을 하면서 보게 되는 여러 지표들 가운데 가장 기초적으로 알고 있어야 할 PER과 PBR에 대해 살펴본다. PER : 주가수익비율 PER= 기업주가 / 주당순이익 주식 1주가 벌어들이는 수익력을 시장에서는 얼만큼 평가받고 있는지에 대해 알 수 있는 지표 PER이 낮을수록 회사 이익에 비하여 저평가된 주가 PER이 낮은 주식에 투자하면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이론이다. 예를 들어 주식시장의 낮은 관심, 높지 않은 실적으로 인하여 낮은 가격 평가를 받고 이는 PER이 과소평가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시장은 과소평가된 PER을 상승시키려는 속성을 가짐 주당순이익이 비슷할 경우 주가가 낮아져야 저PER 주가가 될 수 있다. 즉 PER이 낮은 주는 기업의 수익력은 높지만 시장에서 저평가된 ..

금일 장에서 에이치엘비는 종가 90,300원으로(3.79% 상승) 마감했다. 무상증자 이후 지속되는 하락세가 답답함을 줄만큼 이어지다가 최근 3일간에는 소폭 상승한 종가로 장을 마감하고 있다. 기다리고 있는 소식들은 한가득인데 일정이 지연되고 있다는 사유로 인해 빛을 보지 못하는 상황이다. 며칠 전 포스팅하면서도 언급은 했지만 진행상황에 대한 실망감이 시장에 반영되었다고 생각한다. https://illusionist-note.tistory.com/63 위의 포스팅 말미에도 언급했지만 추세 전환은 반드시 이뤄질 것이라고 본다.(극단적이지만 회사가 거짓말을 한 것이 아니라는 전제 하에서다.) 무엇을 기다리나? - 임상3상을 마치고 대기하고 있는 위암 NDA - 일본 LO - 국내 리보세라닙 판매 - 이뮤노믹..
에이치엘비의 유무증 이후 연이은 주가 하락이 계속되고 있다. 12일 기준 종목의 종가는 87,000원. 계단식 하락의 차트보다 더 도드라져 보이는 것은 시장의 신뢰 하락이 아닌가 싶다. 지연되는 소식들 우선 NDA 신청 일정이 지연되고 있다. 당초 4월로 예정되어 있던 일정이 하반기로 늦춰진 상황이다. 3월 회사의 공지사항에는 "데이터 확보 등의 원활치 않아 당초 목표보다 다소 지연될 수 있겠으나" 라는 문구가 있었다. 예측하지 못한 부분이고 통제할 수 없는 영역이다 보니 연기가 되는 것은 발생할 수 있는 일이다. 다만 공식적으로 계획에 대한 어떤 커뮤니케이션 없이 자연스럽게 넘어가는 모양은 그리 바람직하지 않아 보인다. 일본 라이센스 아웃 관련 사항은 안티들에게는 더 없이 좋은 먹잇감이다. 연초에 알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