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EY NOTE

연금저축펀드 TDF란? 본문

금융정보 , 뉴스

연금저축펀드 TDF란?

MONEY NOTE 2021. 7. 20. 03:51
반응형

연금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상품 또한 다양해지면서 어떤 연금 상품이 좋을지에 대한 고민들을 하는 사람들이 부쩍 증가하고 있다. 이 중 연금저축펀드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어 그중 하나인 TDF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연금저축펀드 TDF

TDF가 무엇인가?

 

연금저축펀드 중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TDF라는 상품이 있다. TDF는 Target Date Fund의 줄임말로 풀어보자면 가입자의 생애주기에 맞춰 글로벌 자산을 배분하고 리밸런싱하는 최적화된 연금펀드라는 것이다.

 

TDF의 장점

 

이렇게 인기가 높아지는 데에는 특별한 장점이 있기 때문일텐데 그것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TDF 장점 알아보기

 

스마트한 자산 관리

TDF라는 상품은 전 세계의 주식과 채권, 부동산 등 여러 자산에 전방위적으로 분산하여 투자를 한다. 은퇴를 앞두고 있는 사람들에게 안전자산 투자 비중을 높이는 형태로 하여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이익을 얻게 하는 것이 설계의 주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가입자가 금융, 투자 상품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도 스마트하게 상황에 맞게 자산을 관리하는 펀드라고 할 수 있다.

 

세액공제

연금의 목적이 노후 대비인데 여기에다가 13.2%의 세액공제까지 해주니 마다할 이유가 없다. 400만 원 납입 한도 내에서 13.2%만큼 세금을 줄여주는 것이다.

 

계산을 해보면 400만원을 넣으면 최대 약 53만 원가량이 절세가 되는 것이다. 이 것은 고정된 금액은 아니다. 소득구간에 따라 조금은 상이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서 나의 소득이 연 5500만 원 이하라면 16.5% 적용되어 절세 금액은 약 13만 원이 늘어난다.

 

TDF의 단점

 

모든 것이 장점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TDF 상품도 단점이 존재한다.

 

TDF 단점 알아보기

 

상황을 모두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자동적으로 자산을 배분하다보니 이는 장점이자 곧 단점이 된다. 시장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이 느릴 수가 있다는 것이 단점이다. 고객들의 개별 상황은 고려되지 않고 시스템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조금 더 필요한 시간

2011년부터 도입이 되었으나 본격적 판매는 2016년부터 이뤄졌고 현재까지 실적은 좋으나 사이클이 너무 짧았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수익이라는 것이 흐름이 있고 시간에 따라 등락을 거듭할 수 있으나 상품의 특성상 리스크를 안고 가는 것은 아니기에 꾸준한 실적을 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