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223)
MONEY NOTE

5월은 종합소득세의 달이라는 문구를 접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종합소득세란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모든 종류의 소득에 대한 세금으로, 일반적으로는 다음 해 5월 1일부터 31일까지 개인적으로나 세무사를 통해 금액을 신고하고 납부해야 하는 세금이다. 종합소득세를 누가 내는지 대상을 알아보자. 기본적으로 종합소득세의 대상은 자영업자, 개인사업자, 급여에서 3.3%를 원천징수하는 프리랜서와 일용직 근로자, 월급 외 소득이 있는 직장인 등 기본적으로 벌어들이는 수입이 있는 모든 사람이 대상이라 할 수 있다. 종합소득세에는 근로소득, 사업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 이렇게 총 6가지가 포함되며, 퇴직소득과 양도소득은 따로 분류해서 과세가 된다. 종합소득세 계산방법 어떻게 될까?..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대표라 할 수 있는 시장이 바로 코스피시장과 코스닥시장이다. 이번에는 두 시장 중 코스닥 시장 및 코스닥시장 상장요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코스닥시장이란? 코스닥시장은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의 약자로, 1996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주식 시장이다. 주식 매매도 소수점 거래 가능 많은 사람들이 주식은 기본적으로 1주 이상 단위 매매가 가능하다고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제는 국내 주식도 코인처럼 소수점 거래가 가능하게 되었다. 즉 1주, 10주 이렇게 매매하는 것이 illusionist-note.tistory.com 첨단 기술주 중심인 나스닥(NASDAQ) 시장을 벤치마킹해서 만든 것으로, 유가증권 시장인 코스피 시장과는 ..

소득분위라는 용어를 우리는 자주 접하게 된다. 얼핏 들었을 때 소득으로 구분을 짓는 것이라고 생각이 되는데 막상 상세한 내용을 몰라서 찾아보는 경우들이 생긴다. 그도 그럴 것이 소득분위라는 지표가 상당히 여러 분야에서 적용되기 때문이다. 소득분위가 정확히 어떤 것이고 나의 소득분위를 확인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소득분위란 무엇일까? 소득분위는 대한민국 전체 가구의 소득수준을 1단계에서 10단계로 구분한 지표이다. 1분위가 소득 수준이 가장 낮으며, 10분위가 소득 수준이 가장 높은 것이다. 산정된 소득분위 기준을 바탕으로 학자금이나 장학금, 기초생활수급자, 한부모가정, 차상위 계층을 선정할때 기준이되어 활용하게 되며 소득분위는 매년 여러 상황 및 요인들에 에의해 변동되어 매년 변경이 될 수 있는 ..

KDI가 경제성장률을 전망한다는 기사를 경제 뉴스면에서 자주 보게 된다. 경제성장률에 대한 전망이 나올 때마다 긍정적, 부정적 이야기들이 자주 나오는데 KDI라는 기관은 어떤 기관이며 무슨 역할을 하는 곳일까? KDI 경제성장률 전망, 무슨 기관? 이번 주 한국개발연구원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할지 관심이 쏠린다는 뉴스다. 5월 7일 KDI 등에 따르면, KDI는 오는 5월 11일 올해 경제성장률을 포함한 경제 전망을 발표한다고 한다. KDI는 지난해 11월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8%로 제시했고 지난 2월에도 동일한 전망을 발표했는데, 이번에는 하향 조정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렇게 KDI라는 곳은 정기적으로 경제성장률을 전망하고 있다. KDI는 한국개발연구원의 약자로, 1971년에 ..

인플레이션이라는 단어는 이제 많이 익숙해진 경제 용어이다. 인플레이션이 무엇이고 디플레이션과의 차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인플레이션의 사전적 정의 인플레이션은 경제학에서 한 국가의 재화와 용역 가격 등의 전반적인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제상태를 말한다. 인플레이션은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고 구매력이 약화되는 현상을 가져온다. 인플레이션의 주요 원인으로는 통화 공급의 증가,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생산 비용의 상승 등이 있다. 이러한 인플레이션은 경제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인플레이션의 긍정적인 영향으로는 중앙은행이 실질 금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비 화폐 자본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를 장려한다는 것이다. 인플레이션의 부정적인 영향으로는 저축..

종지업 과연 무엇일까? 줄임말이 워낙 많아지다보니 뉴스의 헤드라인도 줄임말들이 차지하는 경우들이 늘어났다. 얼마전부터 종지업이라는 단어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주요 시중은행 과점 체제 해소를 위해 금융당국이 보험사, 카드사도 은행처럼 입출금 계좌를 개설할 수 있는 종합지금결제업 도입을 검토한다는 소식 때문이다. 은행 예대금리차 공개 일반적으로 물건을 구매하거나 식당을 이용할 때 조금만 검색해보면 어디가 싸고 어디가 비싼지 비교가 된다. 그런데 실생활에서 많이 이용하는 은행의 예금이나 대출은 어디가 괜찮은지 궁금 illusionist-note.tistory.com 또 카드대금, 간편결제 등에 있어 은행 계좌를 거쳐야 했던 복잡한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는 이야기도 가시화되는 것으로 보인다. 은행권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