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EY NOTE

콜옵션(call option)이란? 본문

주식/주식 공부

콜옵션(call option)이란?

MONEY NOTE 2019. 4. 24. 19:22
반응형


콜옵션이란?


거래당사자들이 미리 정한 가격(행사가격)으로 장래의 특정 시점 또는 그 이전에 일정자산을 살 수 있는 권리를 매매하는 계약. 콜옵션 매도자로부터 자산을 매입할 수 있는 권리가 콜옵션 매입자에게 부여되는 대신 콜옵션 매입자는 콜옵션 매도자에게 그 대가인 프레미엄을 지급한다.

콜옵션 매입자는 현재가격이 행사가격보다 높은 경우 매입권리를 행사하여 대상자산을 매입하게 되며 현재가격이 행사가격보다 낮을 경우 매입권리를 포기하고 시장가격에 의해 대상자산을 매입한다.

이때 콜옵션거래의 손익은 행사가격,현재가격,프레미엄에 의해 결정된다. <출처: 매일경제 용어사전>

 


옵션은 콜옵션과 풋옵션이 있습니다.

 

오늘 공부할 용어는 그 중 콜옵션이구여. 풋옵션은 반대 개념이니 콜옵션에 대해 숙지한다면 이해가 어렵지 않을 것 같아요. 

 

콜옵션 정해진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이고 풋옵션은 정한 가격에 팔 수 있는 권리 
경제용어나 주식용어들이 용어설명만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있어 예시로 알아볼게요.


A전자라는 주식에 대해 제가 한달 뒤에 100만원에 살 수 있는 콜 옵션을 G기관으로부터 구매합니다.
이 말은 G에서 발행한 콜옵션이 A전자주식을 100만원에 살 수 있는 권리라는 의미입니다. 

이 때 콜옵션을 1만원에 매입한다고 가정합니다.


1. A전자 주가가 오르는 경우

 만기일 이전에 A전자주가가 110만원이 되면 저는 콜옵션을 이용해서 A전자를 100만원에 매수합니다.
콜옵션 매입에 1만원 사용, 콜옵션 권리를 행사하여 주식을 100만원에 매입했죠. 이 것을 시가에 매도하면 

바로 9만원의 수익을 얻을 수가 있는 것입니다.

 

콜옵션을 발행한 기관에서는 해당 수익금을 마련해서  저에게 지급해줘야 합니다. 즉, 옵션 만기일이 되면 G는 자신의 가처분 자산을 매각해서 해당 자금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이럴 경우 해당 기관이 보유한 여러 주식, 채권들이 대거 매물로 등장하게 되고
기관이 기존에 보유했던 종목들 중 많은 매도 물량이 풀릴 수가 있어요.

2. A전자 주가가 떨어지는 경우
시간이 지나 만기일이 되었는데 A전자주가가 90만원이 됩니다. 굳이 콜옵션 권리를 행사할 이유가 없어지죠

이 경우 만기일이 되었음에도 손해가 나는 구간이다 싶으면 콜옵션 매수자(권리를 산 사람)는 해당 콜옵션의 권리를 포기하면 됩니다.

이 때 저는 콜옵션의 권리를 사면서 기관이 미리 프리미엄을 지불받았으므로 기관은 이익이고
저의 경우는 투자한 금액으로 손실이 100%가 되죠.

하지만 저의 입장에서도 직접 투자해서 손해를 볼 수 있다는 리스크를 가지는 것 보다 옵션을 통해 손실 규모의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 최대 장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