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EY NOTE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뜻 무엇일까 본문

주식/주식 공부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뜻 무엇일까

MONEY NOTE 2023. 7. 16. 15:57
반응형

상장적격성 실질심사란?

 

상장적격성 실질심사란 회사의 상장 유지에 문제가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따져보는 심사 과정을 말한다.

 

상장적격성 실질심사의 주요 사유로는 회생절차 관련, 불성실공시, 상장관련 허위서류 제출, 횡령/배임, 회계기준 위반, 주된 영업정지, 감사의견 관련 등이 있다.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상장적격성 실질심사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거래소가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 사유가 발생했다고 판단하면 주권매매거래 정지를 결정하고 기업심사위원회 의 심의 대상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기업심사위원회의 구성과 역할에 대해 살펴보겠다.

 

기업심사위원회는 거래소가 상장법인의 상장 적격성을 심사하기 위해 두는 위원회이다.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기업심사위원회의 구성은 위원장 1인과 위원 9인으로 구성되는데 위원장은 거래소 이사장이 겸임하고, 위원은 거래소 이사장이 임명한다.

 

위원은 거래소 임직원, 증권시장 전문가, 학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되고 임기는 2년이며, 연임이 가능하다.

 

기업심사위원회의 역할은 상장법인의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거래소 이사회에 보고한다.

 

 

오스템임플란트 주식 거래중지

새해 벽두부터 증시에 쇼킹한 뉴스가 나왔다. 상장사 역대 최대 금액인 1880억원 횡령 사건이 일어난 것이다. 오스템임플란트 거래중지 2021년 10월부터 오스템임플란트 내부 직원이 1880억원이라

illusionist-note.tistory.com

 

상장법인의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에 필요한 사항을 조사하고, 자료를 수집하고, 의견을 청취한다.

 

상장법인의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와 관련하여 거래소 이사회 또는 이사장이 의뢰하는 사항을 검토하고, 의견을 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업심사위원회의 심의 대상이 아니면 곧바로 거래가 재개되지만, 심의 대상이라면 기업의 상장 적격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심의를 받게 된다.

 

이 역할에 의거하여 기업심사위원회는 상장법인에 대해 상장폐지, 개선기간 부여, 거래재개 등을 결정하고 그 결과를 공시한다.

 

 

 

코스닥시장 상장조건은?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대표라 할 수 있는 시장이 바로 코스피시장과 코스닥시장이다. 이번에는 두 시장 중 코스닥 시장 및 코스닥시장 상장요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코스닥시장이란? 코스

illusionist-note.tistory.com

 

 

상장적격성 실질심사는 시장 질서와 투자자 보호를 위해 필요한 제도이다.

 

상장법인은 투명하고 책임있는 경영을 통해 상장 적격성을 유지해야 하는 의무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제도를 운영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되겠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