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EY NOTE

삼성증권 주식 매매 수수료 알아보기 본문

금융정보 , 뉴스

삼성증권 주식 매매 수수료 알아보기

MONEY NOTE 2021. 5. 21. 00:19
반응형

주식 매매 수수료는 주식을 매매할 때 투자하는 자(개인 또는 법인)가 증권사에게 지급하는 수수료를 의미한다. 주식투자를 할 때 매매 수수료에 대해 별로 신경 쓰지 않는 투자자들도 많지만 금액이 커질수록 거래가 잦아질수록 수수료도 감안해야 할 요소가 될 수도 있다. 증권사별로 상이한 구조인데 이번에는 삼성증권 주식 매매 수수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삼성증권 주식매매 수수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수료는 증권사별로, 계좌 개설 방법별로 상이하다. 주식을 매수할 때, 매도할 때 모두 발생하게 된다. 

 

온라인수수료

온라인 수수료라 함은 이제는 익숙한 모바일이라든지 HTS에서 거래할 때 발생하는 수수료를 의미한다. 물론 인터넷과 ARS 거래도 포함되어 있다. 종류별로 거래금액 구간이 있고 이에 따라 수수료는 차등으로 설정되어 있다. 

구분 거래금액 수수료
POP HTS / POP DTS / POP.com/ MTS 1천만원 미만 0.147216%+1,500원
1천만원 이상 ~ 5천만원 미만 0.127216%+3,000원
5천만원 이상 ~ 1억원 미만 0.117216%
1억원 이상 ~ 3억원 미만 0.097216%
3억원 이상 0.077216%
ARS 1천만원 이하 0.247216%
1천만원 초과 ~ 5천만원 이하 0.227216%+2,000원
5천만원 초과 0.197216%+17,000원
POP HTS / POP DTS / POP.com / MTS/ ARS(최저수수료) 50만원 미만 0.497216%

위의 표를 보면 조금 헷갈리기 쉬워 보인다. 다른 증권사 수수료의 경우 정률로 고정이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인데 보면 정률과 정액이 섞여 있어서 보기에는 복잡해 보인다. 그러나 실제는 간단하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의 금액을 MTS로 거래했을 때 100만원의 0.147216%인 1,472원과 1,500원이 합쳐진다는 의미이다.

 

 

금액만 놓고 보았을 때 굉장히 비싸다고 느껴질 수 있다. 게다가 매도할 때의 세금은 고려하지 않은 매매수수료이므로 매도 시에는 위 금액 플러스 세금이 된다. 그러나 MTS나 HTS로 증권 계좌를 개설하다 보면 저 수수료율로 적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증권사별로 고객 유치가 중요하기 때문에 수수료를 감면해주는 이벤트로 계좌 개설을 유도하기 때문이다. 보통 0.003% ~ 0.006% 정도의 율로 기간을 정해서 운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위의 수수료는 공지되어 있는 수수료이므로 참고사항으로 보면 된다.

 

오프라인 수수료

오프라인은 증권사의 지점 또는 콜센터를 의미한다.

구분 거래금액  수수료
기본수수료 2억원 이하 0.497216%
2억원 초과 5억원 이하 0.447216%+10만 원
5억원 초과 0.397216%+35만 원
최저수수료 50만원 미만 0.497216%

아무래도 인력이 투여되어 있는 형태이다 보니 수수료가 차이가 크다.

주식 매매 수수료는 금액이 크지 않아 고려 요소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증권사 이벤트를 활용하여 혜택 기간을 늘리고 조금씩 비용을 줄이는 것도 방법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