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EY NOTE
과세표준이란 무엇인가? 본문
과세표준 뜻
과세표준은 세금을 부과할 때 기준이 되는 금액을 의미한다.
쉽게 표현을 하자면 국가에서 세금을 매기기 위한 기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소득이라는 것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형평성있는 세금을 책정하기 위한 기준인 셈이다.
예를 들어보면 연봉 5천만원인 사람과 연봉 1억원인 사람이 납부하는 세금액이 같다면 형평성에 어긋나기에 버는 소득에 과세표준을 두어 세금 납부 액수에 차등을 두는 것이다.
이 금액은 연봉과는 다르며 세금을 납부할 때 개인의 필요한 비용(또는 경비)을 제외한 금액이다.
PMI지수 무엇일까?
경제 지표 및 지수에는 다양한 것들이 존재한다. 모든 지표나 지수들이 의미를 가지고 있겠지만 오늘은 경제 상황에 영향을 끼치는 PMI지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PMI지수란 무엇일까? PMI지수
illusionist-note.tistory.com
예를 들어 근로소득자는 근로소득 공제를 통해 최소한의 생활비를 보장받을 수 있고 프리랜서나 사업자 등은 종합소득 신고로 필요경비를 고려하여 과세표준을 계산한다.
과세표준을 낮추면 세율이 낮아지고 결과적으로 납부해야 하는 세금이 적어지게 된다.
세율은 과세표준 구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개인의 세금 부담을 조절할 수 있다.
과세표준을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간 총 소득(종합소득금액)에서 소득공제(또는 필요경비)를 제외
종합소득금액은 근로소득, 사업소득, 배당소득, 이자소득 등을 모두 포함한 금액이다.
종합소득자는 비용처리를 통해 과세표준을 낮출 수 있고 근로소득자는 소득공제로 과세표준을 낮출 수 있다.